2010 지방명소활용 풍류음악회 ▣ 기간 : 2010년9월19일(일)~ 10월 23일 매주 토,일요일 오후 2시~4시 ▣ 장소 : 남한산성 내 침괘정 ▣ 주최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주관 : 광주시, 광주문화원, ▣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경기도, 남한산성문화관광사업단
---------------------------------------------------------------------------- 남한산성은 아름다운 자연과 역사의 숨결이 느껴지는 서울 근교의 명소이다. 백제의 시조 온조왕을 모신 숭렬전이 있고 조선시대의 행궁이 있으며 1000개가 넘는 한국의 산성 중 규모가 가장 크고 보존상태가 우수하다. 산 정상에 있는 수어장대는 산성 전체를 내려다 볼 수 있는 명소이고 행궁과 함께 있는 좌승당·영령전 그리고 침괘정·연무관·지수당과 현절사는 그 의미를 되새겨 보아야 할 역사의 현장이다. 산 전체에 울창한 소나무는 아름답기도 하지만 삼림욕을 즐길 수 있을 만큼 맑은 공기를 뿜어낸다. 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고 관광객도 증가할 추세이지만 이곳에서 전통문화의 향기를 맛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은 거의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종민교수와 함께하는 남한산성풍류는 침괘정의 한옥을 무대로 활용하고 한국최고의 음악가들을 동원하여 명소에 걸 맞는 가곡과 정악 그리고 판소리·범패·경기소리·춤 등을 프로그램으로 짜서 해설과 함께 감상하게 한다. 체험의 기회도 마련하여 매 회 간단한 민요를 가르치고 가끔은 농악가락에 맞춰 한국의 몸짓으로 어울리며 시골마을 축제의 포크댄스를 재현하기도 한다. -------------------------------------------------------- <출연진> 가 곡 : 이동규 ( 전 국립국악원 감독, 남창가곡 보유자 후보 ) 김영기 ( 여창가곡 예능보유자 ) 시 조 : 변진심 ( 경제시조연구회 회장 ) 가야금 : 송인길 ( 전 국립국악원 감독 ) 권미선 ( 국립국악원 ) 거문고 : 이오규 ( 용인대 교수 ) 권미선 ( 전 국립국악원, 박사과정 중 ) 유연정 ( 한양대 대학원 ) 피 리 : 김정집 ( 전 국립국악원 ) 최경만 ( 전 국립국악원 감독 ) 대 금 : 이삼스님 ( 녹성 김성진 사사 ) 이용구 ( 국립국악관현악단 악장 ) 이종범 ( 국립국악원 ) 이철주 ( 전 국립남원민속국악원 ) 해 금 : 윤문숙 ( 국립국악원 ) 김현희 ( 국립국악원 ) 공경진 ( 국립국악원 ) 류은정 ( 국립국악원 ) 김영아 ( 한국예술종합학교 ) 김무경 ( 전 kbs 민속연주단 ) 단 소 : 김상준 ( 국립국악원 ) 아 쟁 : 백인영 ( 전 kbs 민속연주단 ) 박종선 ( 서울시 무형문화재 예능보유자 ) 장 구 : 사재성 ( 전 국립국악원 감독 ) 조희춘 ( 국립국악고등학교 ) 윤순병 ( 경기민속악 장단 고수 ) 고 수 : 최우칠 ( kbs민속연주단 단장 ) 류인상 ( 사물놀이, 판소리 고수 ) 최광수 ( 박근영고법 이수자 ) 판소리 : 정의진 ( 임방울 축제 대통령상 수상자 ) 김미나 ( 국립창극단, 대통령상 수상자 ) 남상일 ( 국립창극단 ) 윤진철 ( 전남대 교수 ) 박종호 ( 한국예술종합학교 ) 민은경 ( 성우향 제자, 중앙대 졸업 ) 김지숙 ( 국립창극단 ) 경기소리 : 김장순 ( 경기소리 전수조교 ) 꼬마천재 최성진 ( 한국예술종합학교 ) 송은주 ( 이화여대 박사과정 ) 변기영 ( 동국대문화예술대학원 ) 강효주 ( 국립국악원 ) 박상옥 ( 서울시 휘모리잡가 예능보유자 ) 이희문 ( 경기소리 이수자, 용인대 졸업 ) 심현경 ( 전숙희 제자, 중앙대 졸업 ) 무 용 : 임이조 ( 서울시립무용단 단장 ) 이승희 ( 이동안 춤 연구회 대표 ) 조명숙 ( 이매방 살풀이 이수자, 서강대 ) 박경랑 ( 영남 춤 연구회 대표 ) 김경희 ( 한영숙 제자, 동국대문화예술대학원 ) 이우호 ( 임이조 제자 ) 정명자 ( 한국무용연구소 대표) 이주희 ( 국립국악원 ) 범 패 : 덕림스님 ( 동국대문화예술대학원 ) 동인스님 ( 동국대문화예술대학원 ) 진안스님 ( 동국대문화예술대학원 ) 가야금병창 : 정미정 ( 국립창극단 ) 송수라 ( 동국대문화예술대학원 ) 김계진 ( 동국대문화예술대학원 ) 박미라 ( 동국대문화예술대학원 ) 김정희 ( 동국대문화예술대학원 ) 최예림 ( 동국대문화예술대학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