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즐겨찾기 추가
문화원 소개
광주의 역사
문화행사소식
광주학연구소
참여마당
문화강좌
자료실
원장 인사말
연혁
조직구성
문화원사업
회원가입안내
찾아오시는 길
광주시역사
문화유적지
역사적인물
광주의 민속
구전설화
지명유래
문화행사
문화앨범
연구소소개
소장인사말
연구소연혁
연구위원소개
자료실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묻고답하기
정보공개
오프라인강좌
온라인강좌
동영상자료실
일반자료실
광주의 역사
광주시역사
문화유적지
역사적인물
광주의 민속
구전설화
지명유래
글쓴이
비밀글
이메일
비밀번호
글입력시 입력한 비밀번호
제 목
지정일 | 1986년 5월 7일 소재지 | 곤지암읍 곤지암리 산1-1
지정사항 | 경기도 기념물 제95호(보호구역 면적 : 8,813㎡)
신립(申砬, 1546∼1592)은 조선 선조 때의 무장으로, 북방에서 여진족 니탕개를 격퇴하고 계속되는 침입을 막아낸 용장이
지만 임진왜란 때 탄금대 전투에서 패하여 자결하였다.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입지(立之)이다.
선조가 즉위한 해인 1567년 무과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1583년(선조 16) 니탕개를 격퇴한 후 계속되는 여진
족의 침입으로부터 6진을 지켜낸 공로로1584년 함경도 병마절도사가 되었고, 1590년 평안도 병마절도사를 지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자 충청·전라·경상의 3도 순변사로 임명되어 탄금대에서 배수진을 치고 왜군과 대결하였으나 싸움에서 크게 패하자 남한강에 투신자결하였다.
훗날영의정으로추증되었다.
묘의 봉분은 원형봉토분으로 부인 전주최씨와의 단분합장묘이다. 봉분 앞에는 상석과 향로석이 있고,
그 앞에 장명등이 있으며, 좌우로 동자석·망주석·문인석이 각 1쌍씩 두루 갖춰져 있다. 봉분 왼쪽에는
네모난 받침의 기대(基臺)에 비신(碑身)을 놓고 그 위에 지붕돌을 얹은 방부개석(方趺蓋石) 양식의 대리
석으로 된 묘갈이 있다. 지붕돌은 팔작지붕 형태로 지붕 부분에 용이 정교하게 조각되어 있고, 용마루
양쪽 끝에 용구를 설치한 평산신씨 묘갈의 특징을 보여준다. 기대의 측면에는 당초문(唐草紋)이, 상부
모서리에는 연화문(썱花紋)이 장식되었다. 규모는 총높이 224㎝, 비신 높이 162㎝, 너비 47㎝, 두께 20
㎝이다. 비문은 송시열이 짓고, 신익상이 글씨를 써서 1703년(숙종 29)에 세운 것이다. 문인석은 관모와
관복을 갖춘 금관조복 양식으로 둔중한 인상을 주며, 높이 158㎝정도이다. 봉분 앞 높이 116㎝의 동자석
은 총각을 표현하였고, 높이 159㎝규모의 망주석이 있다
첨부파일
첨부파일